바티칸과 중국의 협약, 종교의 자유를 위한 선택인가, 타협인가?
2018년, 프란치스코 교황이 바티칸과 중국 간의 **‘주교 임명에 관한 협약’**을 체결하면서 가톨릭과 중국 공산당 간의 새로운 관계가 열릴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현실은 기대와는 거리가 멀었습니다. 협약이 체결된 후 중국 내 가톨릭 교회는 더욱 강한 정부의 통제를 받았고, 특히 지하 교회의 신자들은 탄압의 강도가 높아졌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종교의 자유를 보호해야 할 교황의 역할에 대한 깊은 의문을 남기고 있습니다.
바티칸-중국 협약의 내용과 그 후폭풍
이 협약의 핵심은 중국 정부가 주교를 추천하고 교황이 이를 승인하는 방식으로 주교 임명 절차를 조정하는 것입니다. 바티칸은 이를 통해 중국 내 가톨릭 신자들의 권리를 보장할 수 있다고 주장했지만, 실제로는 중국 정부가 교회를 더욱 강하게 장악하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협약 이후 중국 정부의 추천을 받아 임명된 주교들은 신학적 자질이 부족하거나 부패한 인물로 논란이 되었으며, 일부는 개인적인 비윤리적 문제까지 제기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바티칸이 교회의 전통적 가치를 저버리고 정치적 타협을 선택했다는 비판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지하 교회의 고난과 절망
중국 내 가톨릭 신자 중 상당수는 정부의 통제를 받지 않는 ‘지하 교회’에서 신앙을 지켜왔습니다. 하지만 협약 이후 중국 정부는 지하 교회에 대한 탄압을 더욱 강화했습니다. 정부의 승인 없이 운영되는 교회는 폐쇄되었고, 사제들은 감시와 탄압을 받았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로, 허난성의 류 취안파 신부는 협약 이후 극심한 탄압을 받으며 생계의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중국 정부는 그의 교구를 폐쇄하고 정부가 지정한 성직자로 대체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지하 교회 신자들에게 큰 상처를 주었으며, 일부 신자들은 바티칸이 자신들을 외면했다며 실망감을 표출했습니다.
홍콩 민주화 운동과 바티칸의 침묵
2019년 홍콩에서 벌어진 민주화 운동은 시민들의 기본적인 자유를 지키기 위한 투쟁이었습니다. 홍콩 가톨릭 사회에서도 민주화 운동을 지지하는 목소리가 컸으며, 요셉 젠 추기경은 이를 강력히 지지하며 중국 정부를 비판했습니다. 그러나 정작 프란치스코 교황은 이에 대해 침묵을 유지했습니다.
가톨릭 교회는 역사적으로 억압받는 이들을 보호하고 인권을 수호해왔습니다. 그러나 이번 사안에서는 국제 사회가 바티칸의 입장을 궁금해하는 가운데도 교황은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고, 이는 가톨릭 신자들의 신뢰를 흔드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협약 추진 과정과 도덕적 논란
이 협약의 추진 과정에서도 심각한 도덕적 문제가 있었습니다. 협약을 주도한 인물 중 한 명이 테오도어 맥캐릭 추기경이었는데, 그는 2018년 성범죄 혐의로 사임한 바 있습니다. 이런 인물이 협약 추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사실은 협약의 도덕적 정당성에 대한 의문을 더욱 키웠습니다.
공산주의에 대한 이해 부족과 종교의 희생
가톨릭 교회는 과거 공산주의의 위험성을 경고해 왔습니다. 1937년 비오 11세 교황은 공산주의를 ‘잔인하고 뻔뻔스러운 허위의 메시아 사상’이라고 규정하며 이를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하지만 프란치스코 교황은 중국 공산당과의 협약을 통해 신자들의 자유를 보호할 수 있다고 믿었고, 그 결과는 신앙을 지키려는 이들에게 더 큰 희생을 요구하는 상황으로 이어졌습니다.
특히 중국에서는 18세 미만 청소년들이 교회 출입을 금지당하고, 성경이 공산당 이념에 맞게 수정되는 등 종교 탄압이 더욱 심화되었습니다. 그러나 바티칸은 이에 대한 공식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았으며, 이는 교황이 종교적 가치를 정치적 타협으로 희생했다는 비판을 초래했습니다.
가톨릭 교회의 역할과 향후 과제
바티칸의 중국 정책은 단순한 외교적 선택이 아니라, 신자들의 신앙과 인권을 보호해야 하는 도덕적 책임이 걸린 문제입니다. 교황이 중국과의 협약을 통해 가톨릭 공동체를 확장하려 했을지 모르지만, 결과적으로 많은 신자들은 박해받고 있으며, 신앙의 자유는 위협받고 있습니다.
교황과 바티칸은 이제라도 침묵을 깨고, 종교의 자유와 인권을 위해 목소리를 내야 합니다. 탄압받는 지하 교회 신자들과 민주화 운동가들에게 희망을 주는 것이야말로 가톨릭이 지켜야 할 진정한 가치일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