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가톨릭 교회와 노예제: 역사적 진실과 현대 사회에 미치는 영향

아프리카 노예 출신으로 처음 박사학위를 받은 인물인 야코부스 요한네스. 그는 구약을 연구하여 흑인들이 노예가 되는 것이 하느님의 뜻에 합당하다는 논문을 써서 신학박사 학위를 받은 후 아프리카로 선교를 하러 갔다. 세계인의 영혼을 구해야 한다는 신념 아래 이뤄진 전교활동은 강제 개종이라는 강압적인 방식으로 행해졌다. 거기에는 원주민에 대한 무시와 억압, 노골적인 인종차별까지도 번연히 존재했다. 순수혈통이 아니면 사제가 되지도 못했다. 출처 한계레

 

가톨릭 교회와 노예제의 관계는 역사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논란이 많은 주제입니다. 특히 미국에서 예수회 신부들이 19세기 초기에 노예 매매를 통해 교회를 확장하고 재정적 위기를 극복한 사실은 최근에야 대중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 이야기는 레이첼 스와른스의 저서 "The 272: The Families Who Were Enslaved and Sold to Build the American Catholic Church"에서 상세히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예수회의 역사적 결정

1838년에 예수회 신부들은 조지타운 대학(현 조지타운 대학교)을 구하기 위한 재정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메릴랜드에 있는 예수회를 안정화시켜야 했습니다. 이를 위해 신부들은 272명의 노예를 매각하여 자금을 마련하였습니다. 이 노예 매매는 당시 버지니아주 알렉산드리아에서 이루어졌으며, 나이든 이들, 부부, 어린이, 그리고 울부짖는 아기들이 사랑하는 사람들과 익숙한 세상에서 강제로 남쪽으로 이송되는 장면이 묘사되고 있습니다.

노예제와 교회의 관계

예수회 신부들은 노예들의 영혼을 구제하는 데 관심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들은 필요할 때는 그들의 몸을 판매하는 것에 대해서는 문제를 삼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모순된 관계는 당시 가톨릭 교회의 입장에서 노예제를 정당화하는 이유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행동은 현대의 관점에서 보면 윤리적으로 매우 비판적인 주제로 비추어집니다.

영향과 후손의 이야기

스와른스의 책은 이 역사적 사건이 어떻게 세대에 걸쳐 후손들의 삶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보여줍니다. 그녀는 뉴욕 타임즈 기사를 통해 이 노예 매매로 인해 분리되었던 두 가족의 후손이 서로를 찾는 계기가 되었음을 전합니다. 이처럼 노예제의 역사는 오늘날 우리 사회와 가톨릭 교회의 현재 모습과도 불가분의 연결고리를 맺고 있습니다.

반성의 필요성

가톨릭 교회가 과거에 노예제를 어떻게 정당화했는지, 그리고 이러한 역사적 사건이 오늘날 우리의 사회와 기관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 주제는 단순히 역사적인 사건이 아니라, 실제 사람들의 이야기이며, 그들의 삶과 이름을 통해 과거와 현재의 연결점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가톨릭 교회와 노예제의 관계는 깊은 반성과 고민이 필요한 주제입니다. 이러한 과거의 역사를 이해하고 배워야 현재와 미래를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끌어 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