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개신교회는 심각한 성범죄 문제로 큰 논란에 휘말리고 있습니다. 목사는 영적 지도자로서 교회를 이끌어야 하는데, 여러 사건을 통해 목회자들이 성범죄를 반복적으로 저지르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조사에 따르면, 교회에서 발생한 성폭력 사건의 68%는 목사나 전도사 등 지도자급 인물들이 가해자였습니다. 그런데도 교단에서의 징계나 처벌은 거의 없었습니다.
목회자 성범죄 사례
한국의 대형교회 목사인 이재록은 여신도들을 상습적으로 성폭행한 혐의로 징역 15년을 선고받았습니다. 그는 “신의 권능”을 주장하며 피해자들을 위협하고 성폭력을 저질렀습니다. 이 외에도 자칭 메시아로 알려진 정명석 같은 인물들도 성범죄를 저지르고, 그 후에도 처벌을 받지 않거나 다시 성범죄로 기소되는 사례가 있었습니다.
구조적 묵인과 은폐
이 문제를 더 심각하게 만드는 것은 교단 차원에서의 은폐와 묵인입니다. 교단은 성범죄가 발생하면 즉각적인 처벌을 해야 하지만, 현실은 피해자들이 입을 막히거나 심지어 가해자를 보호하려는 행동이 이루어집니다. 예를 들어, 전병욱 목사는 성추행 의혹으로 사임했으나, 거액의 퇴직금을 받고 새 교회를 개척하며 공식 사과도 하지 않았습니다. 이를 비판하는 교인들을 “이단”이라고 공격하는 모습은 사이비 집단과도 비슷합니다.
교단의 솜방망이 대처
교단에서 가해자에 대한 징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현실도 문제입니다. 피해자들이 신고해도 가해자가 처벌받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교인들 대부분은 성범죄를 저지른 목사를 영구히 제명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일부 목회자들은 일정 기간 후 복귀할 수 있다고 답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는 목회자들 스스로도 성범죄에 대해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교회의 현실
현재 개신교회는 더 이상 거룩한 신앙 공동체라고 할 수 없습니다. 성범죄를 저지른 목회자들을 보호하고,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외면하는 교회는 그 본분을 저버린 것입니다. 사회는 이제 개신교를 불신하고 비판하고 있으며, 교회가 범죄자를 감싸는 현실은 교회 자체의 존립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결국, 교회는 스스로를 바로잡아야 합니다. 성범죄를 저지른 목회자는 영구히 축출하고, 피해자들에게 정의를 실현하는 것이 교회의 책무입니다. 개신교회가 더 이상 사이비 종교처럼 비춰지지 않으려면, 내부의 비리를 인정하고 처벌하는 과감한 변화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