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적 비극은 사회가 하나로 뭉쳐 상처를 치유하고 앞으로 나아가는 계기로 작용해야 합니다. 세월호 참사, 이태원 10.29 참사, 제주항공 참사 등은 국민 모두에게 깊은 슬픔과 상처를 남겼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종교는 위로와 연대의 중심이 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일부 개신교 지도자들의 발언과 행동은 이러한 기대를 저버렸습니다.
세월호 참사 당시, “하나님이 나라를 경고하려고 학생들을 희생시켰다”는 망언은 국민적 슬픔을 위로하기는커녕 상처를 더욱 깊게 만들었습니다. 비극의 원인을 희생자에게 전가하며 신학적 해석으로 포장하려는 시도는 공감과 책임감을 저버린 무책임한 태도였습니다.
이태원 참사에서도 “귀신과 함께 놀다가 벌어진 일”이라는 발언이 나왔습니다. 핼러윈 문화를 참사의 원인으로 몰아가는 시도는 희생자들의 아픔을 조롱하고, 비극의 본질을 왜곡한 것입니다. 국민적 연대가 필요한 순간, 이런 발언은 사회적 갈등을 부추겼습니다.
또한, 제주항공 참사와 관련된 “사탄이 개입한 사건”이라는 주장은 비극을 초자연적 사건으로 치부하며, 사고의 구조적 문제를 외면하려는 태도로 비춰졌습니다.
이러한 발언들은 종교의 본래 역할을 상실한 채, 국민적 슬픔과 아픔을 정당화하거나 왜곡하려는 사이비적 태도로 비판받아야 합니다. 종교는 국민의 상처를 치유하고 사회적 갈등을 해소하는 데 기여해야 합니다. 그러나 일부 지도자들은 자신들의 영향력을 강화하려는 도구로 비극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진정한 종교는 사랑과 연대를 통해 사회를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끄는 역할을 합니다. 국민은 진정성을 가진 종교를 원하며, 이러한 기대를 저버리는 행태는 반드시 개선되어야 합니다. 비극 앞에서 책임과 연대를 실천하지 못하는 종교는 사이비로 간주될 뿐입니다. 이제는 종교의 진정성을 회복하고, 국민의 신뢰를 되찾아야 할 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