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개신교의 대표적 교단인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와 기독교대한감리회(감리회)가 성범죄와 부패로 인해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본래 신앙과 도덕의 중심이 되어야 할 교단들이 지도자들의 비리와 책임 회피로 인해 신뢰를 잃고 있습니다.
끝없는 범죄와 무너진 신뢰
최근 감리회 소속 목사의 그루밍 성범죄 의혹은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미성년자를 포함한 여성 신도들이 피해를 입었고, 일부는 정신적 트라우마와 심각한 건강 문제까지 겪었습니다. 예장에서도 다수의 성폭력 사건이 보고되었지만, 가해자는 징계를 받지 않거나 재판 중에도 활동을 이어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부패한 구조, 방치된 문제
교단 내부의 구조적 부패는 문제를 악화시키고 있습니다. 가해자들은 교단의 보호 속에서 다른 교회로 이동하거나 처벌을 피할 수 있었고, 피해자들은 침묵을 강요당하며 고통 속에 남겨졌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교단이 문제를 해결할 의지나 능력이 없음을 보여줍니다.
이단보다 심각한 현실
놀랍게도, 정통 교단으로 불리는 이들 조직에서 벌어지는 범죄는 일부 이단 단체보다도 심각한 수준입니다. 그러나 언론과 자본을 통해 문제를 희석시키며 비판을 회피하고 있습니다. 이는 교단의 체면 유지와 내부 범죄 은폐에만 몰두한 결과입니다.
변화의 필요성
대한예수교장로회와 기독교대한감리회는 신앙 공동체로서의 기능을 이미 상실했습니다. 더 이상의 개선 가능성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신앙의 이름 아래 권위를 남용하고 범죄를 방조하는 구조는 단호히 청산되어야 합니다. 신앙의 본질과 정의를 되찾기 위해서라도 교단 내부의 부패를 근본적으로 제거해야 할 때입니다.
한국 개신교의 미래는 철저한 자기반성과 구조 개혁에 달려 있습니다. 신앙의 본질을 회복하고 진정한 사랑과 정의를 실천하는 새로운 출발이 필요합니다.